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의 조회 테이블로작성자,작성일,조회수,첨부파일,전화번호,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민안전처, 차세대 국제안전통신센터 구축 추진
작성자홍보담당관 김형식 작성일2015-03-31 조회수2564
첨부파일 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 국민안전처 차세대 국제안전통신센터 구축추진.hwp (다운로드 80 회)
전화번호 02-2100-0024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본부장 홍익태)는 현재 저궤도 위성조난시스템의 기술적 한계(조난신호 탐지시간 지연 및 위치 부정확 등)문제 등을 개선 등하기 위해 차세대 국제안전통신센터를 새롭게 구축할 계획이다.

국제조난안전통신망(GMDSS)은 전세계 해상조난 및 안전제도로 선박 사고시 조난통신이 위성 및 육상을 통하여 수색구조 기관에 전달됨으로써 신속히 구조 활동을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는 해상통신제도이며, 현재 COSPAS-SARSAT 등 국제기구 중심으로 효율적인 수색구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국제 수색구조 위성인 저궤도위성(LEOSAR)을 중궤도위성(MEOSAR)으로 전환하고자 시험평가 진행 중으로 2016년 이후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국제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국제안전통센센터는 선박·항공기가 해상에서 침몰 사고시 조난통신 청취 및 신호를 접수?처리하는 해상조난통신망과 함께, 각종 선박의 안전 항해를 위해 해상기상, 해상사격 등 해상안전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해상안전통신망을 국제안전통신센터로 통합하여 차세대 GMDSS 통합 운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同 센터는 작년 12월 기본설계를 시작으로 올해 12월 해양경비안전본부에 구축하여 통합 운영이 가능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며, 사업비는 총 54억원이 투입된다.

특히, 국제 수색구조 위성이 2016년 중궤도 위성시스템으로 상용화되면 기존 저궤도 위성의 문제점인 조난자 위치 오차가 5Km에서 수 m로 정확성이 높아지고, 탐지시간은 1시간에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해지는 등 수색구조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이 된다.

해양경비안전본부 관계자는 “이처럼 조난신호는 조난자에게 마지막 희망인 만큼 국제안전통신센터가 구축이 되고, 차세대 중궤도 위성이 상용화가 되면 신속한 위치파악과 정확성이 더욱 강화되어 수색구조 역량이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문의 : 해양정보통신과 경사 김주화(032-835-2581)

다음글,이전글 목록입니다.
다음글 ▲ 국민안전처, 비상대비업무 유공 표창 수여 홍보담당관 2015-12-22
이전글 ▼ 10.28(보도자료) 수색재개, 희생자 1명 추가 수습 관리자 201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