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의 조회 테이블로작성자,작성일,조회수,첨부파일,전화번호,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상화학사고 대응, 획기적 변화의 발돋움
작성자홍보담당관 김형식 작성일2015-05-26 조회수1963
첨부파일 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 해상화학사고대응 획기적 변화의 발돋음.hwp (다운로드 83 회)
전화번호 02-2100-0024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해상화학사고에 대비한 최신 과학기술을 접목한 긴급 현장대응 기술 및 장비개발에 나서기로 하였다.

해양경비안전본부는 한국과학기술원 재난학연구소 등 5개 기관이 참여하는「HNS 유출사고 현장 대응기술 및 장비개발」국가R&D 사업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같이 HNS는 물질의 종류가 다양하고 인체 및 해양환경에 복합적인 위험을 내재하고 있어 해양사고 시 육상 주민 및 해양자원 등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5년간 매년 2~4건의 해상화학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부산 태종대 해상에서 Maritime Maisie호 화재사고(‘13.12), 부산 신항에서 Maersk Cunene호 불산 유출사고(’14.10), 울산항에서 한양에이스호 혼산 유출사고(‘15. 1) 및 부산 태종대에서 Sun Wing호 혼산 유출사고(’15. 3) 등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 HNS 사고 대응체계는 육상 화학물질사고  체계를 적용하는 등 사고대응에 한계가 있어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해상에 적합한 전문 장비 및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R&D사업은 2018년까지 국내 해상운송 HNS의 중점관리물질선정과 화재·폭발 등의 위험으로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사고선박의 유출물질 탐지 및 분석기술 개발 등 7개 세부과제로 분류하여 사전예방·사고대응시스템 구축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7개 세부과제는 △HNS 중점관리물질 선정 및 통합관리 방안  △HNS 사고현장 탐지 및 분석기술 개발  △HNS사고 대응지침 개발  △HNS 물질별 방제 자재·약제 개발  △HNS사고 대응장비 선정 및 시스템 구축  △내화학성 개인보호복 개발  △HNS 유출방지 및 차단기술 개발이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이번 HNS 연구개발사업은 올 5월초 해경본부에서 발표한「해양오염방제업무 마스터플렌」추진계획의 일환으로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었지만 최신 대응기술과 장비체계를 도입함으로써 현장 HNS 사고 대응력 제고 및 국민안전을 확보하는 한편 연구성과물은 산업체에 기술이전을 통하여 국내 방제산업 기반조성 및 육성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문의 : 해양경비안전연구센터 방제연구팀 주무관 강진성(041-640-2531)

다음글,이전글 목록입니다.
다음글 ▲ 국민안전처, 비상대비업무 유공 표창 수여 홍보담당관 2015-12-22
이전글 ▼ 10.28(보도자료) 수색재개, 희생자 1명 추가 수습 관리자 201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