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의 조회 테이블로작성자,작성일,조회수,첨부파일,전화번호,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 주변의 안전은 내가 지킨다!
작성자홍보담당관 김형식 작성일2015-07-09 조회수3951
첨부파일 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 내 주변의 안전은 내가 지킨다.hwp (다운로드 90 회)
전화번호 02-2100-0024

일상생활 속 안전위해요소를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신고할 수 있는「안전신문고」포털 및 앱이 새로운 안전문화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15년 상반기까지「안전신문고」포털(www.safepeople.go.kr)과 앱을 통해서 접수된 안전신고는 총 29,666건으로 최근 하루 평균 200여건이 신고 되었다.

유형별 신고내용으로는 시설안전에 대한 신고가 약 40%로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교통안전, 생활안전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서 제일 많은 신고가 접수되었으나, 인구대비로는 세종시, 전남지역에 많은 신고가 있었다.

단체의 안전신고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화재·교통사고 등 각종 사고예방에 앞장서는 보험회사의 참여 및 안전관련 봉사단체의 참여가 두드러진다.

개인의 사적인 요구사항이 많은 지자체 고충민원 만족도가 평균 50점이었던 것에 반해 공익적 신고가 주된 내용인 안전신고의 처리과정 및 처리절차에 대한 만족도가 64점으로 높다.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안전신고를 통해 지역내 안전도가 향상되는 사례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례1) 완도읍 소재 저수지에 승용차가 추락하여 사망사고가 발생하자, 구조에 참여했던 소방관이 유사사례 방지를 위해 가드레일 설치를 요구하여 수용된 사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공무원의 적극적 참여가 있어서 가능했다.

(사례2) 어린이 놀이터 앞의 배전반이 활짝 열려있어 아이들의 감전위험이 있다는 신고는 2009~2013년 동안 전기 감전사고 어린이 피해자가 379명(이 중 0~5세는 약 76%)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의미있다 하겠다.

국민안전처 최복수 생활안전정책관은 “그동안 국민들의 안전신고에 힘입어 1만 5천여건 이상의 생활 속 위해요소를 해소할 수 있었다. 앞으로 신고시스템을 안정화시켜 더 많은 신고와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며, “지역내 안전도를 향상시킨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7월 중에 ’15년 상반기 우수신고 및 최다 수용신고자(단체포함)도 선정하여 시상하겠다.”고 밝혔다.

* 문의 : 안전점검과 행정사무관 양선화(02-2100-5065)

다음글,이전글 목록입니다.
다음글 ▲ 국민안전처, 비상대비업무 유공 표창 수여 홍보담당관 2015-12-22
이전글 ▼ 10.28(보도자료) 수색재개, 희생자 1명 추가 수습 관리자 201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