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의 조회 테이블로작성자,작성일,조회수,첨부파일,전화번호,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민안전처, 지자체별 안전수준 알 수 있는 안전지수 공개
작성자홍보담당관 김형식 작성일2015-07-29 조회수3385
첨부파일 파일 다운로드  (참고자료) 지역안전지수 관련.hwp (다운로드 209 회) 파일 다운로드  (브리핑자료) 지자체별 안전수준 알 수 있는 안전지수 공개(최종).hwp (다운로드 196 회)
전화번호 02-2100-0024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가 전국 시도, 시군구의 화재, 교통사고 분야의 안전지수 등급(1~5등급)을 시범 공개했다.

【시·군·구 등급】
화재 분야에서는 경기 부천시, 전북 전주시, 부산 기장군, 충북 증평군, 서울 강동구, 송파구 등 22개 기초자치단체가 상위 10%인 1등급을 받았고, 교통사고 분야에서는 경기 수원시, 안양시, 대구 달성군, 강원 홍천군, 서울 송파구, 양천구 등 22개 기초자치단체가 상위 10%인 1등급을 받았다.

특히 서울 강동구, 송파구와 경기 부천시, 수원시, 부산 기장군, 충북 증평군은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 모두 1등급을 받아 다른 지자체에 비해 안전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 등급】

서울특별시와 경기도가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 모두 1등급을 받았고, 다른 시·도는 2~5등급이다.

이번에 공개된 화재, 교통사고 분야 안전지수는 시범운영을 위해 2013년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 통계를 대상으로 산출한 것이며, 시범운영 기간 동안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보완하여, 오는 10월에는 2014년 7개 분야 통계를 대상으로 산출하여 정식 공개할 예정이다.

안전지수는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통계들 중 지역의 안전 수준을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38개 핵심지표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하고 비중이 높은 지표는 인구 1만명당 사망자수다.

이는 우리나라의 안전사고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6.6%의 두배에 달하고, 교통사고 사망률 1위, 자살률 10년 연속 1위라는 현실을 감안했다.

이번 안전지수 발표를 계기로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지역사회가 사망자수를 줄이기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투자를 확대해 나간다면 우리나라의 안전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안전처는 이번에 지역별 안전지수와 등급 외에도 200여종의 안전통계가 입력된 지역안전진단시스템을 지자체에 제공하여 향후 지역별 안전에 관한 시책방향과 안전예산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중·하위 등급 지자체 중 4개소를 선정하여 안전 위협·위험요인에 대한 정밀진단·분석을 통해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실시하고, 전국 지자체 담당자들과 진단·분석기법을 공유하여 지역의 재난안전관리 역량을 전반적으로 강화시켜 나갈 예정이다.

한편, 국민들은 국민안전처 및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를 통해 전국 지자체의 안전등급을 확인할 수 있다.

박인용 국민안전처장관은 “지역의 안전수준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알 수 있는 지역안전지수 도입을 계기로 지자체의 지역안전에 대한 노력과 책임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정부에서도 재정지원, 컨설팅 제공 등 지역안전 수준을 높이는데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문의 : 안전기획과 서기관 이범준(02-2100-0418)

다음글,이전글 목록입니다.
다음글 ▲ 국민안전처, 비상대비업무 유공 표창 수여 홍보담당관 2015-12-22
이전글 ▼ 10.28(보도자료) 수색재개, 희생자 1명 추가 수습 관리자 201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