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의 조회 테이블로작성자,작성일,조회수,첨부파일,전화번호,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갯벌에서 고립사고 안전주의 당부!
작성자홍보담당관 김형식 작성일2015-08-10 조회수1613
첨부파일 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 갯벌에서 고립사고 안전주의 당부.hwp (다운로드 67 회)
전화번호 02-2100-0024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본부장 홍익태)에서는 올해 전국적으로 갯벌에서 44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이 중 6명이 사망하는 등 여름 휴가철 서해안 갯벌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해마다 이맘때면 조석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 갯벌에서는 해루질 등으로 인한 고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해루질 하는 즐거움에 빠지다 보면 소리 없이 빠른 속도로 차오르는 바닷물에 빠져 목숨마저 빼앗기는 아찔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해루질은 주로 밤에 랜턴 등을 이용해 하고 있으며,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안개가 끼게 되면 방향을 상실하게 되어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때 육지가 아닌 바다 쪽으로 잘못 향할 수도 있어 매우 위험하다.

밀물의 속도는 시속 7km~15km이며 보통 성인 남성의 걸음보다 2~3배 빠르고, 가장 빠를 때는 보통 자전거가 전속력으로 굴러가는 속도로 성인이라도 물살에 휩쓸리면 떠밀려 갈만큼 무서운 속도다.

이처럼 갯벌에서의 사람 이동 속도는 들물의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서둘러 나와야 사고를 피할 수 있다.

해루질 체험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이들 대부분이 해안의 특성이나 조수간만의 차이를 잘 알지 못하는 초보 체험객들이 많아 그 만큼 사고 위험이 높아 질 수 밖에 없다.

해루질시 다음과 같은 유의사항만 지킨다면 안전사고로부터 자신의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
   - 해루질시 구명조끼를 반드시 착용
   - 구조 요청시 사고위치 확인 가능한 ‘해로드’앱 활용
   - 휴대폰 등 통신장비 챙기기, 이때 통신장비는 방수팩 등에 넣어 휴대
   - 혼자서 활동하지 않고 2인 또는 3인 등으로 짝을 이뤄 활동하고 야간에는 해루질을 활동 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만약 활동할 경우 주변에 알림
   - 마지막으로 물때를 반드시 숙지. 들물시간을 휴대폰 등에 알람을 설정해 놓고 해루질 활동을 들물시간 전에 종료

해루질 등 갯벌사고는 여름 성수기뿐만 아니라 봄, 가을에도 꾸준히 발생하는 만큼 바다 특성을 알고 적극적인 관심과 사전준비를 통해 안전한 갯벌체험을 하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사고발생시 122 또는 119로 신속하게 신고할 것을 다시 한번  당부했다.


* 문의 : 해상안전과 오승만(032-835-2553)

다음글,이전글 목록입니다.
다음글 ▲ 국민안전처, 비상대비업무 유공 표창 수여 홍보담당관 2015-12-22
이전글 ▼ 10.28(보도자료) 수색재개, 희생자 1명 추가 수습 관리자 201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