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단계) 거점도시 중심 : (’18) 강원 춘천, 전주 (’19) 대전, 제주 (’20) 충남 (’21) 울산
(2단계) 대도시 근교 농촌, 인구감소지역 등 유형 다변화 : (’22) 경북 청도, 경남 밀양, 전북 군산
(공간조성) 방치·문제적 공간을 탈바꿈하여 주민의 소통·협력 거점 조성
(사업운영) 주민참여 로컬브랜딩 활성화 및 지역문제해결 지원 등
(추진배경) 자신의 강점과 특색을 가장 잘 아는 지역이 스스로 고유성을 살려 지방소멸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주민 삶의 질을 개선하여 지역 활력 제고
(로컬브랜딩 개념) 지역의 고유자원과 생활양식(lifestyle)을 바탕으로 정착·전입할만한 지역을 만들어가는 전략(국정과제 119-4) ※ (예시) 임실 치즈마을, 공주 제민천, 제주 세화마을, 서울 경의선숲길(‘연트럴파크’) 등
(마스터플랜) 로컬브랜딩 마스터플랜(실행계획) 수립 및 일부 사업 실행지원
(연계·협력) 지방소멸대응 등 로컬브랜딩 관련 정책 연계·협력 추진
(성과 확산) 성과공유회 등을 통한 로컬 창조커뮤니티(로컬브랜딩 성공모델) 확산 지원
(추진내용) 혁신도시 소재 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기 위한 지역단위의 민·관·공 협업체계 구축 및 운영
(추진지역) 전국 11개 시·도 지자체 지역문제해결플랫폼 구축 및 운영(23년 기준)
* 주민, 시민사회, 사회적 경제조직, 연구자ㆍ전문가, 공무원 등 다양한 주체가 상호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소통 협력체계
(리빙랩, 스스로해결단 등)
◆ 주민참여 기반 현장문제 해결 | |
---|---|
![]() |
|
◆ 과학기술 기반 지역현안 해결 | |
![]() |
|
(추진배경) 공공 유휴·저활용 공간을 주민 활동 공간으로 탈바꿈하여 주민이 주도하는 지역활성화 추진
(현황) ’19~’23년, 총 132개 사업(공간조성 87곳·조사연구 45건)을 추진하여 주민 활동공간 조성 지원 ※ (사업예산)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자율계정(시·도 자율편성)
(공간 조성·운영) 총 58곳의 주민 활동공간 완공, 50곳 운영 중(’22.12.기준) ※ (활용 용도) 공동체 활성화, 청년 자립 지원, 어린이·가족, 문화예술, 사회봉사, 경제 활성화 등
(조사·연구) 지역사회 역량 강화를 위한 조사·연구 총 36건을 완료(’22.12.기준)하여 체계적인 공공 유휴시설 활용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