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① 초기대응·선제적 재난관리 ② 지역 역량 강화 ③ 과학 기반 재난안전 ④제도개선·안전문화의 4개 분과로 구성
* < 전체회의 > 1차(11.18.)·2차(11.25.)·3차(12.1.)·4차(12.15.)·5차(12.22.)·6차(12.30.)
* ‘안전신문고’(1,672건) 및 ‘ON국민소통(220건)’를 통해 의견수렴(총 1,892건)
비전 | 함께 만드는 「모두의 일상이 안전한 대한민국」 | ||
---|---|---|---|
목표 | 새로운 위험에 상시 대비하고, 현장에서 작동하는 국가 재안안전관리체계 확립 | ||
'27년 10만명당 재난·안전사고 사망자 20명내 감축* * '19년 기준 재난·안전사고 사망자, OECD 평균 22.1명 / 한국 26.2명 |
|||
기본방향 | 「관점」전환 | 「방식」전환 | 「행동(실천)」전환 |
예측과 회복을 포함하는 상시적 재난관리 | 디지털플랫폼·과학 기반, 全 사회 구성원 참여 | 온국민이 실천하고 행동하는 안전문화 확산 |
< 대표과제 >
신종재난 위험요소 발굴센터: 위험요소 발굴·평가·선정의 상시적인 감시체계 마련
현장인파 관리시스템: 유동인구 밀집도 상시 수집·분석, 위험 감지 시 자동으로 상황 전파
< 대표과제 >
상시 재난안전 상황관리체계 구축: 자치단체 상황실 24시간 365일 운영 지능형 CCTV통합관제 추진
재난관리 권한·역할 강화:시·도지사에 재난사태 선포권한 부여, 자치경찰 이원화 모델 본격 시행[그림. 지역 안전:지자체+경찰+소방]
< 대표과제 >
예측 중심 안전관리시스템 고도화: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예측·감지-모니터링-조기경보 체계 구축[그림. 지능형CCTV↔시도CCTV 관제센터↔경찰·소방]
대국민 통합서비스[국민안전24]: 재난예방, 대비·대응, 복구지원 등 국민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제공
< 대표과제 >
공동체 회복을 위한 종합복구 지원: 피해 지역에 대한 인프라+소통회복+지역경제 등 종합복구 지원
안전취약계층 맞춤형 안전관리: 어린이, 장애인 등 대상별 맞춤형 안전대책 추진
< 대표과제 >
생애주기별 체험중심 안전교육: 연령대별로 체험형 필수 안전교육 제공[그림. 기존: 영유아(0~5세), 아동(6~12세), 청소년(13~18세)/목표: 기존 포함, 청년(19~29세), 성인(30~64세), 노인(65세~)까지]
국민 참여와 협업기반 안전관리: 안전신문고, 온국민소통 등을 통한 안전신고·정책제안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