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지도
국민생활 전반에서 안전확보에 필요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알기쉬운 지도형태로 표현, 인터넷(PC) 또는 모바일 서비스 등으로 국민에게 공개하는 서비스입니다.
‘과거에는’ 각 부처 및 기관에서 재난안전정보를 개별·분산적으로 관리하여 국민에게 생활주변의 다양한 안전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현재는’ 생활주변 안전정보를 8대분야로 통합하였습니다.
약 20여개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안전정보를 ①교통, ②재난, ③치안, ④취약계층(아동·여성·노약자) 맞춤안전, ⑤시설, ⑥산업, ⑦보건, ⑧사고분야로 나누어 전국 229개 시군구를 구축하였습니다.
△ 교통·재난·치안·취약계층 맞춤안전(‘16.1월), 시설·산업·보건·사고안전(‘18.1월) 대국민 전국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 ①교통안전

-
- - 교통사고 다발지역 및 교통안전 발생정보
- - 이용자의 계층 및 시간대별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등하굣길·출근길 안전지도)
- ②재난안전

-
- - 지역별 산불, 산사태, 붕괴, 지진, 화재, 침수 등 재난발생 정보 제공
- - 침수, 산사태 등 재난 발생을 대비한 우리 동네 안전한 대피소 정보 제공
- ③치안안전

-
- - 강도, 성폭력, 폭행 등 범죄발생 정보제공
- - 이용자 접속 시간대에 맞는 치안안전 정보 서비스
* 안전녹색길(새벽·오전·오후·심야), 주변 안전 시설정보
- ④맞춤안전

-
- - 범죄·교통·재난 등 분야별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어린이·여성 등 안전 취약계층별 맞춤형* 안전지도 제공
* 어린이 안전지도, 여성밤길 안전지도, 노인 안전지도 등 제공
- ⑤시설안전

-
- - 전기화재/가스사고 발생현황 및 통계정보
- - 노후건축물 밀도, 유해화학시설 집계 및 분포, 방사능측정 감시망 위치정보 등 제공
- ⑥산업안전

-
- - 산업재해 및 사망재해 발생통계 정보
- - 건설공사 위치 및 공사기간, 산재지정 의료기관 및 산재지정약국 위치정보 제공
- ⑦보건안전

-
- - 자살발생 현황 및 통계, 질병 및 가축전염병, 어린이 천식·아토피, 식중독 등 현황정보
- - 축산시설 및 이동통제초소 위치, 철새도래지 영역,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정보 등 제공
- ⑧사고안전

-
- - 추락/낙상사고 발생 통계 및 위치 정보
- - 추락/낙상사고 주의구간 정보, 어린이놀이시설 및 승강기시설 점검이력 정보 등 제공
생활 속에 안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 환경부, 경찰청, 한국환경관리공단 및 기상청 등에서 교통돌발정보, 미세먼지, 통합대기지수, 방사능, 초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자외선지수, 식중독지수, 동파가능지수 등 11종의 실시간정보 연계하여 제공합니다.
내 주변에 있는 안전시설(대피소·경찰서·소방서 등)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
- 공공기관, 대피시설(민방위대피소, 지진대피소 등), 가로등, 학교, 약자보호시설(성폭력지원시설, 무더위쉼터 등), 의료시설, 편의점, 치안시설, 모범음식점 등 약 44여종의 안전시설이 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
국민이 직접 신고한 ‘안전신고정보’와 지역별 안전수준을 등급으로 표시한 ‘지역안전지수’를 연계하여 제공합니다.
- 안전신문고 및 안전모니터봉사단을 통해 신고한 안전신고정보의 처리현황과 매년 발표하는 지자체별 지역안전지수도 생활안전지도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