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정부 국제협력 현황
UN 전자정부 평가
2024년(제12차) 국제연합(UN) 전자정부 평가 4위
- 온라인서비스 부문(Online Services Index) 1위 / 전자정부에 대한 국민 체감도를 대표하는 지표로 전자정부 법‧제도‧전략, 웹사이트 방문 평가 등/ UN DESA 직접평가
- 통신인프라 부문(Telecommunications Infra. Index) 6위 / 인터넷 이용률, 이동전화 사용자, 유무선 광대역 가입자 등 / ITU 통계 인용
- 인적자본 수준 부문(Human Capital Index) 17위 / 성인 문해율, 취학률, 기대교육년수, 평균교육년수 등 / UNESCO 통계 인용 등
OECD 디지털정부 평가
2023년(제2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디지털정부 평가 종합 1위
-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디지털정부 평가 6개 부문 중 4개 부문에서 1위, 2개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해 2회 연속 종합 1위 달성
- 데이터기반 정부, 플랫폼 정부, 개방형 정부, 선제적 정부 1위
- 디지털우선 정부, 국민 주도형 정부 2위
제2차 OECD 디지털정부 평가 한국 주요 결과
디지털 우선 정부: 2019년 0.82(1위), 2023년 0.971(2위)
데이터기반 정부: 2019년 0.68(3위), 2023년 1.00(1위)
플랫폼 정부: 2019년 0.89(2위), 2023년 0.913(1위)
개방형 정부: 2019년 0.9(1위), 2023년 0.882(1위)
국민 주도형: 2019년 0.67(4위), 2023년 0.909(2위)
선제적 정부: 2019년 0.5(12위), 2023년 0.934(1위)
종합: 2019년 0.742(1위), 2023년 0.935(1위)
세계은행 거브테크 성숙도(GTMI) 평가
2022년(제1차) 세계은행 거브테크 성숙도 평가 198개국 중 1위
- 핵심정부시스템(CGSI)과 제반 지원정책(GTEI) 1위
- 공공서비스전달체계(PSDI)와 국민참여(DCEI) 2위
- ※ CGSI(Core Government Systems Index): 정부 클라우드, EA, 재무관리 플랫폼 등 평가
- ※ PSDI(Public Service Delivery Index) : 온라인 포털, 전자결제, 세금 전자신고 등 평가
- ※ DCEI(Digital Citizen Engagement Index) : 공공데이터, 정보공개, 시민참여 등 평가
- ※ GTEI(GovTech Enabler Index) : 거브테크를 위한 전략, 제도, 정책 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