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디지털정부 전시체험관
디지털정부 역사관
- 한국의 디지털정부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주요 추진계획, 서비스 구축현황, 주요 법제도 추진현황 및 추진성과 등 한국 디지털정부의 발전 과정 소개
- (1960~70년대) 행정전산화 추진위원회 설치 및 행정전산화 5개년 기본계획 수립 등 본격적인 행정전산화 체계 구축
- (1980년대) 국가 차원의 전산망 구축사업인 ‘국가기간전산망 구축사업’ 추진으로 5대 분야인 행정, 금융, 교육, 국방, 공안 분야의 국가 전산망 구축
- (1990년대) 초고속정보통신기반 구축 종합계획, 정보화촉진기본계획 등이 수립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광케이블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행정 생산성 향상, 민원행정 서비스, 행정정보화 기반 구축, 행정정보화 환경 조성 등 전자정부 기초 마련
- (2000년대) 2001년 세계 최초로 ‘전자정부법’ 제정 및 2002년 정부 민원 포털(G4C) 서비스 개통 등 인터넷을 통한 민원 서비스 시작
- (2010년대) 유엔 전자정부 평가 3회 연속 세계 1위, OECD 디지털정부 평가 종합 1위 등 대한민국 전자정부 우수성 입증
- (2020년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국민의 요구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및 국민이 직접 정책 설계에 참여하는 디지털 민주주의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