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정책 참여 확대와 기본생활 지원으로 함께 만드는 미래
        
        
      
	
      
	
      
      
     
      
      
       
      
        
		과제목표 
		
	  		- 일자리, 주거, 자산, 교육, 복지 등 청년 삶 전반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강화
- 국가 정책과정에서 청년 당사자성 강화 및 지속가능한 청년정책 지원체계 구축
주요내용 
		
	  		- 
		  		(청년의 일할 기회 확대) 청년 맞춤형 취업*・창업** 지원 강화
		  		* 국민취업제도 구직활동지원금 확대 및 자발적 이직자 생애 1회 구직급여 지급 추진, AI 분야 등 채용연계형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확산 등 ** 지역, AI・딥테크 창업 중점 지원 및 AI 등 기술분야 청년창업기업 소득세・법인세 감면 검토 등 
- 
		  		(청년 주거 안정 강화) 청년 선호 지역에 특화공공임대, 기숙사형 청년주택, 기숙사 등 공급 확대 및 청년 월세 지원 등 청년 주거비 지원 강화
	  		
- 
		  		(자산형성 지원 강화) 청년 목돈마련 지원상품 및 청년 맞춤형 재무상담 신설로 청년의 경제적 자립 뒷받침, 중소기업 근속 청년 등에게는 추가 인센티브 지원
	  		
- 
		  		(청년 교육 등 생활 지원) 맞춤형 국가장학금(인문100년, 희망사다리Ⅱ장학금) 및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지원 확대, 식사·문화·교통 등 청년 생활 밀착 지원*
		  		* 천원의 아침밥, 청년문화예술패스, 첫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등 - 취약청년(고립・은둔, 가족돌봄, 자립준비청년 등) 선제발굴 및 맞춤형 지원 강화 
- 
		  		(청년 당사자성 강화) 청년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는 참여 시스템 강화, 청년신문고‧공모전 등 참여채널 다각화, 청년보좌역 제도 개선 등 청년 목소리 확대
	  		
- 
		  		(청년정책 기반 강화) 사회적 논의를 통한 청년연령 현실화 추진, 통합적 청년정책 지원체계‧인프라 강화* 및 지역의 청년 참여 기반 확산**
		  		* 온라인 청년정책 통합 플랫폼(‘온통청년’) 고도화, 전담지원 및 연구체계 구축 등 ** 지역청년지원센터의 지역허브 역할 강화, 청년친화도시 및 지역특화 청년사업 확산 등 
기대효과 
		
	  		- 사회진출‧자산형성 및 생활 밀착 지원 등으로 청년들의 자립‧도약 기반 마련
- 중요 정책결정 과정에서 청년들의 당사자성 확대 및 정책 공감‧사회통합 기여